채근시

[채근시] 도를 찾는 삶 31-35 / 임보

운수재 2006. 5. 17. 06:03

[채근시] 도를 찾는 삶 31-35 / 임보

 

31

무식한 자와 더불어 일하기보다

어중간한 자와 더불어 일하기가 더 어렵다.



* 무식한 자는 가르쳐서라도 함께 일할 수 있다.

  그러나 어중간이 아는 사람은 자신의 생각과 지식에 고집을 부리고

  또한 시기하는 마음도 있어서 더불어 일하기가 쉽지 않다.

  바로 ‘아는 것이 병’―식자우환(識字憂患)이다.




32

곱지만 쉬 시드는 것은 맑고 오래가는 것만 못하고

일찍 빼어난 것은 뒤늦게 이루어진 것만 못하다.



* 고운 도화(桃花)는 쉽게 지고, 맑은 송백(松柏)은 오래간다.

  사람도 일찍 세상에 드러나면 자만하여 내실을 잃기가 쉽다.

  그러므로 오랜 시련을 거쳐 능력을 갖춘 뒤 늦게 드러난 이가 바람직하다.

  대기만성(大器晩成)이라 하지 않던가.




33

고요한 가운데 인생의 진경(眞境)이 보이고

담담한 가운데 마음의 본연(本然)을 알게 된다.



* 일에 바삐 쫓기지 않고 한가로운 가운데서 인생의 참 경지를 맛볼 수 있고,

  감각의 혼란이 없는 담담한 가운데서야 마음의 참 모습을 알게 된다.




34

낚시질이 즐거우나 살생의 마음이 있고

바둑이 또한 재미있되 싸움의 마음을 일으킨다.

그러니 일을 기뻐함은 일을 더는 것만 못하고

재주 있음은 재주 없음만 못하다.



* 즐겁고 재미있는 일들이 다 문제가 없지 않다.

  그러니 재미있는 일이라 하여 자주하기보다는 줄이는 편이 낫다.

  재주가 많아 여러 가지 일을 번거롭게 벌이는 것보다는

  재주 없어 차라리 천진을 보전함이 더 낫다.




35

몸을 닦되 마른나무처럼 부드러움을 잃지 말며

마음을 닦되 식은 재처럼 따스함을 버리지 말라.



* 몸과 마음을 닦되 몸이 마른 나무처럼 생기를 잃고 딱딱해지며,

  마음이 식은 재처럼 온기를 잃어버린다면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사물의 부정에만 집착하는 그릇된 완공(頑空)에 빠진 결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