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창작 강의록 단행본으로 출간하여 회원들께 특가로 우편판매합니다. 그 동안의 시창작 강의록을 증보개정하여 전 61강으로 묶어 총 407페이지의 우아한 단행본으로 출간했습니다. [신간 안내] 임보 시인의 시창작 안내서 『시와 시인을 위하여』 ――당신도 좋은 詩를 쓸 수 있다 월간《우리詩》출판부 도서출판 <움>에서 2013. 9. 10. 출간 총 407페이지, 값.. 시창작 강좌 2013.09.22
[시창작강좌 53] 현대시의 텐션 / 임보 [제53신] 현대시의 텐션 / 임보 로메다 님, 지난주엔 백담사 <만해 마을>에서 문학 행사가 있어 참석했다가 낙산사를 찾았습니다. 화마(火魔)가 휩쓸고 간 흔적이 처참해 보였습니다. 대웅전을 비롯해서 수많은 요사채들이 연기로 사라져 버렸는데 다행히 바닷가 언덕 위에 자리한 의상대와 홍련암.. 시창작 강좌 2006.07.03
[시창작강좌 52] 천상적 시각의 시 / 임보 [제52신] 천상적 시각의 시/ 임보 로메다 님, 이젠 완연한 봄이군요. 산야에 개나리며 진달래 그리고 목련들도 흐드러지게 피어나고 있군요. 봄나들이라도 좀 하셨나요? 나는 지난 주중의 하루를 청주 인근의 교외를 돌아다니며 보냈습니다. 청원의 내수라는 곳에 자리한 <운보의 집>을 보기도 했습.. 시창작 강좌 2006.06.28
[시창작강좌 51] 수평적 시각의 시 / 임보 [제51신] 수평적 시각의 시 / 임보 로메다 님, '봄이 왔는데도 봄 같지 않다' 더니 바로 그런 날씨군요. 남도에는 산수유와 매화꽃이 피고 있다는 화신이 있지만 서울 우이동(牛耳洞) 운수재(韻壽齋) 뜰의 매화는 여린 꽃망울을 움켜쥐고 있을 뿐, 봄비를 맞더니 이제 겨우 몇 개의 꽃망울을 열어 보이는.. 시창작 강좌 2006.06.16
[시창작강좌 50] 지상적 시각의 시 / 임보 [제50신] 지상적 시각의 시 / 임보 로메다 님, 지상적 시각이란 시인이 현실적 가치관을 가지고 대상을 바라다보는 시각입니다. 시인이 대상과의 관계를 현실적으로 설정하는 태도입니다. 다시 말해서 대상이 시인의 현실적인 삶에 얼마만큼 유용한가 혹은 유해한가를 따지는 자세입니다. 그리하여 유.. 시창작 강좌 2006.06.14
[시창작강좌 49] 시인의 세 시각 / 임보 [제49신] 시인의 세 시각 / 임보 로메다 님, 시의 하류 장르를 어떻게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하는 문제는 아직 진지하게 논의된 것 같지 않습니다. 문학개론서에서는 통상적으로 서정시 서사시 극시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구분은 일찍이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시도되었던 것이.. 시창작 강좌 2006.06.09
[시창작강좌 48] 사무사 / 임보 [제48신] 사무사(思無邪) / 임보 로메다 님, 오늘은 공자의 저 유명한 '思無邪(사무사)'라는 말에 관해서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思無邪(사무사)'는 시를 논하는 사람들의 입에 자주 회자되는 너무나 유명한 구절입니다. 『논어』 위정편(爲政篇)에 수록되어 있는 공자의 전후 말씀은 이러합니다. '시 삼.. 시창작 강좌 2006.06.05
[시창작강좌 47] 시의 네 가지 범주 / 임보 [제47신] 시의 네 가지 범주 / 임보 로메다 님, 어느 분야의 문화 활동이든 항상 새로운 영역과 방법을 끊임없이 탐구(探究)·모색(摸索)하게 마련입니다. 그것이 곧 발전의 양상입니다. 시의 경우도 새로운 영역의 확장을 위한 탐구와 새로운 방법에 대한 모색이 어느 시대에나 있어 왔습니다. 그런데 .. 시창작 강좌 2006.06.03
[시창작강좌 46] 해체시란 무엇인가 / 임보 [제46신] 해체시(解體詩)란 무엇인가 / 임보 로메다 님, 대학에 들어와 새로운 친구들도 만나고 첫 강의도 들었겠군요. 대학 생활에서 중요한 것은 지식을 얻는 것보다 좋은 친구와 스승을 만나는 일입니다. 그들이 로메다 님의 한평생을 통해 훌륭한 후원자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좋은 친구들을 .. 시창작 강좌 2006.05.26
[시창작강좌 45] 시인의 네 유형 [제45신] 시인의 네 유형 / 임보 로메다 님, 굳이 세상 사람들을 몇 가지 부류로 나누어 본다면 문제아(問題兒), 유명인(有名人), 현인(賢人) 그리고 보통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시인들의 경우도 문제 시인, 유명 시인, 훌륭한 시인, 보통 시인 등으로 구분하여 따져볼 수 있을 것 같습니.. 시창작 강좌 2006.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