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시] 수신과 성찰 76-80 / 임보
76
덕(德)은 도량(度量)을 따라서 늘어가고
도량은 식견(識見)으로 말미암아 넓어진다.
* 도량(度量)은 사물을 받아들여 다루는 너그러운 마음과 깊은 생각이다. 덕은 도량의 크기에 따라 늘어나고, 도량은 식견의 넓음에 따라 넓어진다. 그러므로 덕을 키우기 위해서는 사물을 분별해 낼 수 있는 식견을 넓히는 일이 중요하다.
77
저를 반성하는 이는 닥치는 일마다 모두 약이 될 것이요
남을 허물하는 이는 생각이 움직일 때마다 창과 칼이 된다.
* 늘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면서 살아가는 사람은 하는 일마다 그 반성이 약이 되어 잘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남을 탓하기 좋아하는 사람은 그 탓이 상대방을 괴롭힐 뿐만 아니라 결국은 자신을 해치는 창과 칼이 되어 되돌아온다.
78
사업과 문장은 몸을 따라 사라지되 정신은 만고에 항상 새로우며
공명과 부귀는 세상과 함께 바뀌지만 기개와 절조는 천 년이 하루 같다.
* 생전에 이룩해 놓은 사업이나 문장은 우리가 세상을 떠남과 동시에 사라진다. 그러나 그 사업과 문장 속에 고귀한 정신이 담겨 있다면 사람은 비록 떠날지라도 그 정신은 사라지지 않고 오래 남을 것이다. 부귀공명은 세태가 바뀜에 따라 잊히지만 기개와 절조는 천년이 가도록 생생히 남는다. 그러니 오래 남을 고매한 정신과 절조를 소중히 하도록 해야 할 일이다.
79
사람됨에 참되고 간절한 마음이 없으면 허수아비나 다름없고
세상살이에 원만하고 활달한 맛이 없으면 나무장승이나 마찬가지다.
* 진실하고 간곡한 마음을 갖지 못한 사람은 허수아비와 같아서 하는 일마다 믿을 것이 못되며, 원만하고 활달한 기상이 없는 사람은 목석 같아서 하는 일마다 막힐 것이다.
80
절의(節義)가 청운(靑雲)을 내려다볼 만하고
문장(文章)이 백설(白雪)보다 높을지라도
덕성으로 닦여진 것이 아니라면
마침내 사사로운 혈기요 얄팍한 재주에 지나지 않는다.
* ‘청운’은 고관대작을 ‘백설’은 송옥(宋玉)의 「백설곡」을 뜻한다. 비록 절의가 고관대작을 누를 만하고 문장이 선인을 능가하는 뛰어남이 있다 할지라도 덕성으로 연마된 것이 아니라면 사사로운 만용이며 얄팍한 재주에 지나지 않는다.
'채근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근시] 수신과 성찰 86-90 (0) | 2007.04.27 |
---|---|
[채근시] 수신과 성찰 81-85 (0) | 2007.04.25 |
[채근시] 수신과 성찰 71-75 (0) | 2007.04.22 |
[채근시] 수신과 성찰 66-70 (0) | 2007.04.20 |
[채근시] 수신과 성찰 61-65 (0) | 2007.04.14 |